본문 바로가기

월급 받으면 어디로 다 새는 걸까? 30~40대 부부를 위한 현금흐름표 작성법

📑 목차

    안녕하세요, 규리맘입니다 :)
    매달 월급을 받으면 분명히 썼는데... 통장은 텅장.
     

    30~40대가 되니 고정지출은 늘고, 여유는 줄고, 미래가 불안해지더라고요.
    특히 가정의 달 5월, 이곳저곳 돈을 쓰다보니 엄청 불안하고 초조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 가족의 돈이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나가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현금흐름표 작성법’을 소개할게요!
    물론 저도 최근 다시 한번 정리했답니다 :)

     


    ✔️ 현금흐름표란?

    말 그대로 월급이 들어오는 순간부터 빠져나가는 지출까지의 흐름을 시각화한 표예요.
    단순 가계부보다 훨씬 실용적이고 전략적이에요.

    예시)

    • 수입: 남편 월급 380만원 + 아내 월급 220만원
    • 고정지출: 전세대출 이자, 보험료, 교육비, 통신비 등
    • 변동지출: 식비, 외식비, 쇼핑, 병원비 등
    • 저축 및 투자: 적금, 펀드, 연금 등

    한 달이 끝난 뒤 잔액이 ± 얼마가 남았는지, 혹은 마이너스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어요.


    ✔️ 현금흐름표, 이렇게 작성해보세요!

    1. 지난 3개월 통장 내역을 엑셀 또는 가계부 앱으로 정리
      카테고리별로 자동 분류되는 뱅크샐러드, 토스가 편해요.
    2. 고정지출 & 변동지출을 구분
      넷플릭스도 고정지출입니다!
    3. 지출이 과다한 항목 체크
      식비, 배달비, 커피값… 생각보다 큰 비중 차지하죠?
    4. ‘이상적인 비율’과 비교
      저축 20~30%, 고정지출 40~50%, 변동지출 20~30%가 일반적인 기준이에요.
    5. 지출 리밸런싱 실행
      예: 보험 과다 → 통합 설계, 외식 줄이기, 저축 비중 확대

    💳 현금흐름표 예시 (맞벌이 부부 기준, 월 단위)

    구분 항목 금액(원) 비고
    수입 남편 월급 3,800,000 실수령 기준
    아내 월급 2,200,000 실수령 기준
    기타 수입(부업, 환급 등) 200,000 택배 알바 등
    총수입   6,200,000  
           
    고정지출 전세대출 이자 450,000 매월 동일 지출
    아파트 관리비 및 공과금 250,000 수도, 전기, 가스 포함
    보험료(가족 전체) 400,000 생명, 실비, 자동차 포함
    통신비(인터넷 + 휴대폰 2인) 160,000  
    교육비(아이 학원 등) 500,000 유치원+영어 학원
    OTT/구독서비스 35,000 넷플릭스, 밀리 등
    고정지출 소계   1,795,000  
           
    변동지출 식비 600,000 마트, 장보기 포함
    외식비 300,000 주 1~2회 외식 기준
    교통비(기름+대중교통) 200,000 차량 1대 기준
    쇼핑/패션/미용 250,000 부부 및 아이용품 포함
    병원/약국 100,000 비정기 진료 포함
    기타(경조사, 문화생활 등) 100,000 영화, 도서 등
    변동지출 소계   1,550,000  
           
    저축·투자 적금 400,000 정기적금
    연금저축(남편/아내 각 1개) 500,000 세액공제 활용
    펀드 및 CMA 300,000 단기 투자용
    저축·투자 소계   1,200,000  
           
    잔액   1,655,000 추가 저축 또는 여윳돈 활용

     

    ✅ 해석 및 활용 팁

    • 수입이 620만 원이고, 총지출(고정+변동+저축)이 약 464만 원 정도라면
    • 실제로 남는 금액은 약 165만 원 정도입니다.
    • 이 금액은 추가 투자나 비상금, 여행 적립 등 유동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 포인트는 매월 이 흐름을 파악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것”입니다.
    • 배달비, OTT 중복 구독, 보험 과다 가입은 지출 리밸런싱 우선 항목입니다.

     

    ✔️ 규리맘의 현실 팁!

    • 지출이 보이면 줄일 수 있어요.
    • 한 달만 해보면, 자동으로 습관이 잡혀요.
    • 돈 관리는 잘하는 사람이 하는 것이 좋아요.
    • 남편과 공동관리하는 경우엔 ‘공용지출용 계좌’를 따로 만들면 좋아요!
      - 저희집은 맞벌이 때부터 제가 관리하고, 계좌는 남편명의의 카카오뱅크 모임통장을 이용합니다:)

     

    실제로 핸드폰 메모장에 수시로 작성 및 수정하고 있는 수입/지출표

     


    📌 마무리하며

    돈을 모으는 건 대단한 재테크보다도 흐름을 파악하고 새지 않게 관리하는 것부터 시작이에요.
    저는 가계부를 세세하게 작성하진 않지만 틈틈이 엑셀 또는 핸드폰 메모장에 매월 고정지출 / 저금 내역을 정리합니다:) 핑계겠지만, 아직은 세세하게 가계부 작성할 틈이 없다보니 하루이틀 하다보면 흐지부지 되더라구요. 그래도 매월 고정지출/저금내역만 정리해도 정신이 번쩍 든답니다 ㅎㅎ

     

    우리 가족의 경제 건강도 몸처럼 매달 한 번씩 ‘체크업’해보는 습관, 이번 달부터 함께 해요!


    ※ 본 글은 투자·재정 자문이 아닌, 개인적 경험 및 정보 공유 목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