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출관리 어렵다면? 초보도 실천 가능한 생활비 줄이는 법

📑 목차

    안녕하세요 :) 규리맘이에요!
     
    오늘은 정말 많은 분들이 공감하실만한 주제, 바로 생활비 절약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가계부 쓰기가 너무 귀찮아요",
    "매번 작심삼일이에요"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저도 공감합니다. 실제로 전 가계부를 못 쓰고 있어요... 두 아이 키우면서 매일매일 기록하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저같은 분들, 그리고 초보 분들을 위해 가계부 없이도 누구나 쉽게 실천 가능한 생활비 줄이는 법 5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지출관리 어렵다면? 초보도 실천 가능한 생활비 줄이는 법

     


    1. 소비 패턴을 들여다보자 – 가계부 없이도 가능한 관찰법

    생활비를 줄이는 첫걸음은 ‘내가 돈을 어디에 쓰는지’를 아는 거예요. 가계부를 안 써도 괜찮아요. 대신 ‘영수증 모으기 실험’을 해보세요!

    • 일주일 동안 소비한 영수증을 모두 모아 보기
    • 모은 영수증을 항목별(식비, 쇼핑, 배달 등)로 분류해 보기
    • 지출이 많은 항목을 체크하고 줄일 수 있는 대안 고민하기

    딱 7일만 해보셔도 충분히 소비 패턴이 보입니다!
     

    2. 장 보는 날, ‘주 1회 원칙’ 세우기

    장 보러 자주 나가면 결국 지출도 늘어나요. 유혹에 못 이겨 이것저것 담게 되거든요 😅
    “장 보는 날은 무조건 주 1회로!” 이 원칙을 정해 보세요.

    • 일주일 식단표를 미리 짜놓고 필요한 재료만 적기
    • 장보기 전 반드시 ‘냉장고 점검’하기
    • 장 볼 때는 메모한 목록만 사기 (목록 외 구매는 1~3개 이하로 사기 등 원칙 세우기!)

    이 작은 습관만으로도 식비 절약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도 줄일 수 있어요!

     

    식비 절약을 위한 냉장고 점검과 주간 식단표 작성


     

    3. ‘고정지출’부터 점검하자 – 자동이체의 함정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돈, 점검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 구독 중복 여부 확인 (넷플릭스, 왓챠 등)
    • 사용하지 않는 OTT나 쇼핑 멤버십 해지
    • 보험은 보장 내용 비교 후 중복 여부 정리

    핸드폰 요금도 꼭 들여다보세요! 유료 부가서비스가 남아 있을 수도 있어요.
    무조건 줄이자는 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만 깔끔하게!
    저희는 작년에 웨이브, 멜론을 정리했어요. 그러다 보니 달에 몇 만 원이 훅 줄더라구요^^

    4. 현금 쓰기 습관, 지출에 브레이크 걸기

    카드는 편하지만 과소비로 이어지기 쉬워요. 그래서 저는 ‘현금 지출 주간’을 정해서 써보는 걸 추천드려요.

    • 주 단위로 예산 설정 후 해당 금액만 현금 인출
    • 현금이 줄어드는 걸 눈으로 보며 지출 줄이기

    저희는 생활비 카드에 일정 금액만 이체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5. 무료 혜택과 포인트 적극 활용하기

    앱 설치나 출석 체크만으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이런 앱테크는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보세요.

    • 카카오페이, 토스, 리브메이트 등 포인트 적립
    • 이마트 출석, 만보기 앱, 모니모 기상 출석 이벤트 등
    • 카드사 리워드 포인트 활용

    작은 돈이 모여 큰 절약이 됩니다! 단, 생활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활용해 주세요 :)
    자칫 여기에 빠지면 생활에 방해가 되더라구요.
    저희는 지금은 "이마트 출석, 손목닥터9988(만보기), 모니모 기상출석 및 만보기, 토스 출석 등 포인트+고양이 간식 주기" 이렇게 메인으로 하고 있습니다!
     

    무료 혜택과 포인트 적극 활용하기 만보기어플
    손목닥터9988 화면. 적립한 포인트는 서울페이(서울사랑상품권), 따릉이쿠폰으로 바꿀 수 있어서 좋다!

     


     

    마무리 정리 – 무리 없는 실천이 핵심!

    오늘 소개한 생활비 절약 방법은 모두 “가계부 없이도 가능한 실천법”이에요.
    ‘완벽하게 하자’보다는,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해보는 게 중요하답니다.
    하루하루 더 똑똑한 소비습관을 만들어가 보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