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안녕하세요, 규리맘입니다.
2025년 6월 27일, 이재명 정부가 첫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와 가격이 다시 꿈틀대는 흐름 속에서, 가계부채를 조절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질서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담은 정책입니다.
이번 대책은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청년·신혼부부·저소득층을 위한 공급 확대와 주거복지도 함께 내놓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어요.
그럼, 정책의 핵심만 쏙쏙 골라 정리해볼게요!

📌 왜 지금, 부동산 대책이 필요한 걸까요?
- 수도권 주택 가격 반등 조짐
- 가계부채 증가 (2025년 1분기 1,900조 원 돌파)
- 과열되기 전 선제적 조치 필요성
- 실수요자 보호 + 투기 수요 억제 + 중장기 공급 필요
📊 한눈에 보는 6.27 부동산 대책 요약
| 주담대 한도 | 최대 6억 원 (모든 금융권 신규 대출) | 6월 28일 |
| 대출 만기 | 최대 30년까지 제한 | 6월 28일 |
| LTV | 생애최초·신혼·무주택: 80% → 70% | 8월 예정 |
| 기존주택 처분 조건 | 1주택자: 6개월 내 기존주택 매도 | 6월 28일 |
| 전입 의무 | 6개월 내 실거주 (1주택·무주택자 대상) | 6월 28일 |
| 디딤돌·버팀목 대출 | 신혼부부 한도 4억 → 3.2억 | 8월 예정 |
| 전세자금대출 보증비율 | 90% → 80% | 8월 예정 |
| 다주택자 대출 제한 | 2주택 이상 생활안정자금 대출 금지 | 6월 28일 |

⚠️ 실수요자도 체크해야 할 규제 포인트
- LTV 하향
생애최초·신혼부부는 기존 80% → 70%로 축소
예) 5억 주택 구매 시 4억 → 3.5억으로 줄어듦 - 1주택자의 조건부 대출
대출받아 새 집 살 경우 기존 주택 6개월 내 처분 + 새 집에 6개월 내 실거주 - 다주택자 대출 제한
2주택 이상자는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대출도 원천 금지
🏘 공급은 줄지 않습니다! (공급 확대 + 주거복지)
- 전국 60만 호 공급 (수도권 40만)
- 1기 신도시 재정비 포함 (분당, 일산 등 12만 호)
- 도심 유휴지 신규 5만 호 - 공공임대주택 20만 호
- 청년·신혼부부·저소득층 대상 (2025~2029년 입주) - 임대료 지원
- 월 25~35만 원 (소득 기준), 9월부터 시행 - 주택 바우처
- 연 12만 명 대상, 10월부터 지급 - 주거복지센터
- 전국 30곳 확대, 정보 제공·상담 원스톱 서비스
🗓 시행 시기 요약
| 대출 규제 | 6월 28일부터 |
| LTV·디딤돌·전세대출 축소 | 8월 예정 |
| 임대료 지원·바우처 | 9~10월 |
| 공급 확대(신도시 등) | 하반기 착공 시작 |
| 주거복지센터 확대 | 2025년 내 완료 |
✅ 정리하며: 시장에 어떤 영향?
이번 대책은 투기 억제, 실수요자 기준 강화, 공급·복지 병행의 ‘3축 전략’입니다.
다만 대출 한도·조건이 강화되며, 무주택자·신혼부부·청년층은 부담이 늘 수 있습니다.
집 마련을 고민 중이시라면,
정책 시행 시점과 요건
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임대주택·바우처 등 대안 정책도 함께 검토해보세요:)
'정부정책 > 부동산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6.27 부동산대책 실거주 요건 총정리|6개월 내 전입·기존주택 처분 의무! (1) | 2025.07.04 |
|---|---|
| 대출 규제 총정리|6.27 부동산 대책, 누가 어떤 영향을 받을까? (5)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