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연봉이 올라가도 내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늘지 않는다?!
✅ 직장인이라면 꼭 확인! 2025년 실수령액 기준은?
2025년이 되면서 물가도 오르고, 세금도 달라졌습니다.
연봉은 올랐는데, 왠지 월급은 그대로인 것 같은 기분… 혹시 들지 않으셨나요?
그 이유는 바로 ‘실수령액’과 ‘공제 항목’에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봉 3천만원부터 1억5천만원까지 구간별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하고, 절세 팁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1. 2025년 연봉별 월 실수령액 표
기준: 비과세 수당 없음, 1인 근로자, 최저 공제 기준
| 연봉 | 월 실수령액 | 월 공제액 |
| 30,000,000 | 약 2,150,000원 | 약 350,000원 |
| 35,000,000 | 약 2,490,000원 | 약 420,000원 |
| 40,000,000 | 약 2,820,000원 | 약 510,000원 |
| 45,000,000 | 약 3,170,000원 | 약 580,000원 |
| 50,000,000 | 약 3,480,000원 | 약 700,000원 |
| 60,000,000 | 약 4,120,000원 | 약 850,000원 |
| 70,000,000 | 약 4,720,000원 | 약 1,000,000원 |
| 80,000,000 | 약 5,350,000원 | 약 1,150,000원 |
| 100,000,000 | 약 6,610,000원 | 약 1,420,000원 |
| 120,000,000 | 약 7,850,000원 | 약 1,660,000원 |
| 150,000,000 | 약 9,720,000원 | 약 2,080,000원 |

2.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항목 설명
- 국민연금: 총 급여의 4.5% (상한 약 27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 약 3.5% + 12.8% 추가 부과
- 고용보험: 0.9% 본인 부담
- 소득세 + 지방소득세: 과세표준 누진 + 소득세의 10%
3. 실수령액 계산 예시
연봉 8천만원 직장인 A씨
- 세전 월급: 약 6,670,000원
- 국민연금: 약 300,000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 약 260,000원
- 고용보험: 약 60,000원
- 소득세 + 지방세: 약 700,000원
- 👉 실수령액: 약 5,350,000원
4. 절세 꿀팁 BEST 5
- 비과세 수당 활용 (식대, 차량 유지비 등)
- 연금저축·IRP 가입으로 연말정산 공제받기
- 부양가족 공제 조건 확인 후 적용
- 월세 공제로 세금 환급받기
- 기부금, 의료비, 교육비 공제 미리 준비하기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연봉 1억이면 월급이 600만원대라고요?
A. 네. 소득세, 지방세, 4대 보험 등으로 실수령액은 줄어듭니다.
Q. 공제된 세금은 돌려받나요?
A. 일부는 연금, 복지혜택 등으로 간접 수혜, 연말정산 환급 가능
Q. 부양가족이 있으면 실수령액이 늘어나나요?
A. 연말정산 시 공제 항목이 많아져 환급액이 커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2025년 실수령액은 단순한 연봉만으로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공제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고, 절세 전략과 급여 구조 재설계를 통해 현명한 월급 생활을 준비해보세요.
👉 당신의 실수령액,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다음에는 저희집처럼 외벌이 4인 가족 기준으로 월 실수령액을 알아볼게요!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용카드 vs 선불카드 vs 지역화폐, 민생소비쿠폰 신청 최적 선택은? (0) | 2025.07.22 |
|---|---|
| 2025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실수령액 한눈에 확인! (1) | 2025.07.21 |
|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소득 늘었지만 지출은 줄었다? 지금 우리 가계가 보내는 신호 (2) | 2025.06.04 |
| 💰 디지털 화폐 시대의 도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의 영향과 전망 (2) | 2025.04.09 |
| 💳 핀테크 혁신과 전통 금융권의 대응: 협력과 경쟁의 경계선 (1)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