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소득 늘었지만 지출은 줄었다? 지금 우리 가계가 보내는 신호

📑 목차

    안녕하세요, 규리맘이에요 😊
    오늘은 지난 5월 29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내용을 가지고, 요즘 대한민국 가정의 소득과 지출은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려고 해요.
    경제 뉴스가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던 분들도, 이 글을 통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풀어서 정리해드릴게요!
     

    2025년1분기가계동향조사결과

     

    📌 월평균 소득 535만 원, 작년보다 4.5% 올랐어요!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전국 1인 이상 일반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35만 1천 원이었어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에서 늘었는지 볼까요?

    총소득 5,351천 원 +4.5%
    근로소득 3,412천 원 +3.7%
    사업소득 902천 원 +3.0%
    이전소득 879천 원 +7.5%
    비경상소득 98천 원 +21.1%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가구당 월평균 소득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통계청 자료) / 1인가구 포함

     

    💸 소비지출 295만 원… 그런데 실질 소비는 줄었다?

    지출 총액은 소폭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는 오히려 감소했어요.
    즉, 물가는 오르는데, 가계는 그만큼 지출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죠.

     

    🧾 어디에 돈을 더 쓰고, 어디에서 줄였을까?

    주거·수도·광열 41만 3천 원 +5.8%
    기타상품·서비스 24만 2천 원 +5.6%
    식료품·비주류음료 44만 4천 원 +2.6%
    교통 32만 3천 원 -3.7%
    의류·신발 12만 1천 원 -4.7%
    주류·담배 3만 5천 원 -4.3%

     

    2025년 1분기 가계 동향 월평균 지출
    월 평균 지출. 식료품 비주류음료, 음식및 숙박 그리고 주거비 하면 44%를 차지한다.

    💰 평균 소비성향 69.8%, 흑자율은 상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22만 8천 원, 흑자액은 127만 9천 원(+12.3%)입니다.
    평균 소비성향은 69.8%로, 작년보다 2.1%p 하락했어요.

     

    📉 소득 5분위별 격차는 여전해요…

    구분 소득 소비 평균소비성향
    1분위 (하위 20%) 114만 원 136만 원 147.6%
    2분위 276만 원 195만 원 85.0%
    3분위 440만 원 267만 원 75.3%
    4분위 658만 원 357만 원 68.6%
    5분위 (상위 20%) 1,188만 원 520만 원 56.7%

    *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2025년 1분기 소득5분위별 소득 및 소비지출
    1분위 가구의 경우 소득보다 소비가 많다. 반면 5분위는 매달 절반 가까이 남는 셈

    📝 정리하면? 지금은 “지출은 줄이고, 저축은 늘리는” 시기!

    이번 조사를 통해 볼 수 있는 흐름은 다음과 같아요:

    • 소득은 증가했지만
    • 소비는 억제되고
    • 저축 여력은 확대됨

    가계는 지금 ‘지혜로운 소비자’로 변화하고 있어요.
    필수지출은 유지하면서도, 미래를 위한 자산관리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네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생활 속 경제 이슈, 통계 이야기 쉽게 풀어서 전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