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안녕하세요, 규리맘이에요 😊
오늘은 지난 5월 29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내용을 가지고, 요즘 대한민국 가정의 소득과 지출은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려고 해요.
경제 뉴스가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던 분들도, 이 글을 통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풀어서 정리해드릴게요!

📌 월평균 소득 535만 원, 작년보다 4.5% 올랐어요!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전국 1인 이상 일반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35만 1천 원이었어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에서 늘었는지 볼까요?
| 총소득 | 5,351천 원 | +4.5% |
| 근로소득 | 3,412천 원 | +3.7% |
| 사업소득 | 902천 원 | +3.0% |
| 이전소득 | 879천 원 | +7.5% |
| 비경상소득 | 98천 원 | +21.1% |

💸 소비지출 295만 원… 그런데 실질 소비는 줄었다?
지출 총액은 소폭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는 오히려 감소했어요.
즉, 물가는 오르는데, 가계는 그만큼 지출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죠.
🧾 어디에 돈을 더 쓰고, 어디에서 줄였을까?
| 주거·수도·광열 | 41만 3천 원 | +5.8% |
| 기타상품·서비스 | 24만 2천 원 | +5.6% |
| 식료품·비주류음료 | 44만 4천 원 | +2.6% |
| 교통 | 32만 3천 원 | -3.7% |
| 의류·신발 | 12만 1천 원 | -4.7% |
| 주류·담배 | 3만 5천 원 | -4.3% |

💰 평균 소비성향 69.8%, 흑자율은 상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22만 8천 원, 흑자액은 127만 9천 원(+12.3%)입니다.
평균 소비성향은 69.8%로, 작년보다 2.1%p 하락했어요.
📉 소득 5분위별 격차는 여전해요…
| 구분 | 소득 | 소비 | 평균소비성향 |
| 1분위 (하위 20%) | 114만 원 | 136만 원 | 147.6% |
| 2분위 | 276만 원 | 195만 원 | 85.0% |
| 3분위 | 440만 원 | 267만 원 | 75.3% |
| 4분위 | 658만 원 | 357만 원 | 68.6% |
| 5분위 (상위 20%) | 1,188만 원 | 520만 원 | 56.7% |
*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정리하면? 지금은 “지출은 줄이고, 저축은 늘리는” 시기!
이번 조사를 통해 볼 수 있는 흐름은 다음과 같아요:
- 소득은 증가했지만
- 소비는 억제되고
- 저축 여력은 확대됨
가계는 지금 ‘지혜로운 소비자’로 변화하고 있어요.
필수지출은 유지하면서도, 미래를 위한 자산관리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네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생활 속 경제 이슈, 통계 이야기 쉽게 풀어서 전해드릴게요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용카드 vs 선불카드 vs 지역화폐, 민생소비쿠폰 신청 최적 선택은? (0) | 2025.07.22 |
|---|---|
| 2025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실수령액 한눈에 확인! (1) | 2025.07.21 |
| 🎯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총정리 (3천~1억 5천까지) (0) | 2025.06.09 |
| 💰 디지털 화폐 시대의 도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의 영향과 전망 (2) | 2025.04.09 |
| 💳 핀테크 혁신과 전통 금융권의 대응: 협력과 경쟁의 경계선 (1)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