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동발달 지원 바우처를 정리하기에 앞서,
바우처를 포함한 이것저것 국가 지원을 알아보려면 매일 나오는 말,
"중위소득"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심지어 오늘 뉴스에서
다음달 11일(7월 11일)부터 중위소득 100%이하에만 코로나 격리 생활 지원비를 준다고 하더라구요!
이 중위소득,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우선,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그리고 매년 정부에서는
중위소득을 토대로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발표하는데,
바로 이를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0000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 이라는 보건복지부 고시로, 매년 제정/고시됩니다.
이 기준 중위소득은 각종 복지정책의 수혜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답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표

2022년 가구 구성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을 보면,
1인가구: 1,944,812원
2인가구: 3,260,085원
3인가구: 4,194,701원
4인가구: 5,121,080원
5인가구: 6,024,515원
6인가구: 6,907.004원
7인가구: 7,780,592원
입니다.
중위소득별 복지 혜택 선정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위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생계급여 수급 선정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선정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으로 최대 급여액은 4인 가구 기준으로 1,536,324원입니다.
실제 지원되는 생계급여액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2. 의료급여 수급 선정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의료급여 수급 대상의 본인 부담은 아래와 같습니다.

3. 교육급여 수급 선정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교육급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격차 완화와 교육기회 보장을 위해,
2021년 대비 교육활동지원비가 21.1% 인상된 금액이라고 해요.
초,중,고별 금액은 다르며 연1회 지급됩니다.

4. 주거급여 선정기준: 중위 46% 이하
1) 자가가구: 주택 노후도에 따라 구분한 보수범위별(경/중/대보수) 수선비용을 지급합니다.

2) 임차가구:
임대차계약으로 살고 있는 수급자(신청자)에겐 2022년 임차가구 기준임대료 상한액을 적용하여 수급자의 실제 지출 임차료를 지원합니다.

이외에도, 청년계좌라던지 여러 혜택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중위소득'!
중위소득 정확히 확인하시고,
해당되는 혜택 빠짐없이 받으세요^^
'정부정책 > 생활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전 전기료 할인 대상 출산가구 전기요금 할인 금액 및 신청 방법 (1) | 2023.12.16 |
|---|---|
| 2023 한강 불빛 공연 드론라이트쇼 날짜, 정보 (10) | 2023.09.25 |
| 눈을 자꾸 깜박여요, 우리아이 틱장애일까요? (0) | 2023.09.22 |
| 서울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 (0) | 2023.09.15 |
| 부모급여 지급액, 지급시기,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0) | 2023.08.30 |